7월 3주 공모주 일정을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3개의 공모주와 1개의 스팩주 일정이 있으며 공모주 종목은 에이엘티, 버넥트, 파로스아이바이오입니다.  세종목의 청약일정, 수요예측 결과, 공모가, 유통금액을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비슷한 사업내용으로 상장했던 기업의 상장일날 성과를 살펴보고 마무리하겠습니다. 
 

7월 공모주 일정(에이엘티, 버넥트, 파로스아이바이오)
7월 공모주 일정(에이엘티, 버넥트, 파로스아이바이오)

 
 

공모주 일정

구분에이엘티버넥트파로스아이바이오
청약일17일(월)~18일(화)17일(월)~18일(화)17일(월)~18일(화)
환불일7월20일(목)7월20일(목)7월20일(목)
상장일7월27일(목)7월26일(수)7월27일(목)

에이엘티, 버넥트, 파로스아이바이오의 청약일정은 17일(월)~18일(화) 이틀이며 환불일은 7월 20일(목)입니다. 상장일은 버넥트 7월 26일(수), 에이엘티와 파로스아이바이오는 7월 27일(목)입니다. 상장일이 겹치는 건 두종목다 좋은 일은 아니네요. 막판에 변경될 수도 있습니다.
 
 

수요예측 및 의무확약 비율

구분에이엘티버넥트파로스아이바이오
수요예측1,8351,520303
의무확약16.1%8.6%1.3%

수요예측 결과는 에이엘티> 버넥트> 파로스아이바이오 순서로 나왔습니다. 의무확약도 똑같은 순서로 나왔네요. 에이엘티를 기관에서 가장 좋게 보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이 그렇게 판단했다니 우리도 따라가야겠죠
 
 

공모가

구분에이엘티버넥트파로스아이바이오
희망공모가1.67만~2.05만1.15만~1.36만1.4만~1.8만
확정공모가25,000원16,000원14,000원
상단초과4,500원2,400원-
초과비율22%18%0%

공모가 또한 희망공모가 상단을 초과한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에이엘티로 22% 초과해 25,000원으로 결정됐습니다. 버넥트는 18% 초과한 16,000원이며 파로스아이바이오는 희망공모가 하단인 14,000원 결정되었습니다. 
 
 

주관사 및 최소청약

구분에이엘티버넥트파로스아이바이오
주관사미래에셋증권대신증권한국투자증권
최소청약102050
최소증거금125,000원160,000원350,000원

청약주관사는 에이엘티-미래에셋증권, 버넥트-대신증권, 파로스아이바이오-한국투자증권입니다. 최소청약은 에이엘티(10주), 버넥트(20주), 파로스아이바이오(50주)입니다. 증권사에서 인기가 있을 것 같은 종목은 최소청약은 작게 잡고 인기가 없는 종목은 많이 잡아놨네요. 
 
 

유통금액

구분에이엘티버넥트파로스아이바이오
시가총액2122억1686억1809억
유통금액942억547억611억
모집금액225억307억196억
유통비율44.4%32.4%33.8%
모집비율23.9%56.2%32.1%

유통금액은 에이엘티 942억 원, 버넥트 547억 원, 파로스아이바이오 611억 원입니다. 시가총액 대비 유통가능 금액 비율(유통비율)은 44%, 32%. 33%입니다. 유통금액 대비 모집금액 비율(모집비율)은 23%, 56%. 32%입니다. 
 
에이엘티는 유통금액도 약 900억 원으로 가장 크고, 유통비율도 높고(44%) 유통가능금액 중에 기존주주의 물량도 73%로 가장 높습니다. 유통물량으로 봤을 때 이번 공모에 참가하는 주주에게 불리한 상황입니다.
 
 

사업내용

구분사업내용
에이엘티비메모리반도체 후공정 프로세스 중 테스트를 사업으로 영위함
버넥트증강현실 기술을 기반으로한 확장현실(XR) 솔루션 개발
파로스아이바이오AI 기반의 혁신신약개발 전문 벤처기업

 
 

비슷한 사업내용 공모주 성과

7월 공모주 일정(에이엘티, 버넥트, 파로스아이바이오)
7월 공모주 일정(에이엘티, 버넥트, 파로스아이바이오)

에이엘티는 비메모리 반도체 후공정 프로세스 중 테스트를 사업으로 하고 있으며 이와 비슷한 기업으로 레이저쎌이 있었습니다. 레이저쎌은 22년 6월에 상장했으며 수요예측 1442, 의무확약 12%, 유통금액 572억, 유통비율 44%을 기록했습니다.
 
에이엘티는 레이저쎌보다 수요예측 결과가 400 더 나왔으며 의무확약은 4% 더 높고, 유통금액은 380억 더 많습니다. 
 
레이저쎌은 상장당일 시가에 29% 상승했지만 종가에 8%로 마무리했으면 3개월이 지난 후에는 -48% 기록했던 종목입니다. 
 

7월 공모주 일정(에이엘티, 버넥트, 파로스아이바이오)
7월 공모주 일정(에이엘티, 버넥트, 파로스아이바이오)

버넥트는 증강현실 기술을 기반으로 확장현실 기술을 개발하는 기업으로 이와 비슷한 사업을 하는 기업은 맥스트가 있습니다. 맥스트는 21년 7월에 상장했으며 수요예측 1587, 의무확약 39%, 유통금액 394억 원, 유통비율 33%을 기록했습니다. 
 
버넥트와 비슷하지만  의무확약이 버넥트가 9%로 맥스트보다 30% 부족하고 유통금액도 547억으로 150억 정도 많습니다. 
 
맥스트는 시가를 100% 더블로 시작했으면 종가를 160%로 마무리했습니다. 3개월 뒤에는 355%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7월 공모주 일정(에이엘티, 버넥트, 파로스아이바이오)
7월 공모주 일정(에이엘티, 버넥트, 파로스아이바이오)

파로스아이바이오는 신약을 개발하는 벤처기업으로 이와 유사한 기업으로는 파멥신, 압타바이오, 에스케이바이오팜, 보로노이, 샤페론이 있습니다. 5 종목 모두 수요예측 1000을 넘지 못했습니다. 5개 기업 중 상장일 종가 기준으로 수익을 못 낸 기업은 보로노이 1개 기업이 있었습니다. 
 
상장일 성과가 좋았던 에스케이바이오팜을 제외한 4 종목의 시가평균 수익률은 34%였으며, 종가평균 수익률은 20%였습니다. 3개월 뒤 평균 수익률은 2%였습니다. 
 
 

이렇게 청약하겠습니다

에이엘티는 인기 있는 종목으로 모두 기대하는 종목입니다. 그러나 비슷한 사업내용을 가지고 있던 레이저셀의 상장일 성과가 좋지 못했고 유통물량이 많은 점이 상장일 주가 상승에 걸림돌이 될 것 같습니다. 더욱이 균등배정으로 1주 받기도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균등배정만 참가합니다. (경쟁률이 낮으면 비례까지 갈 생각입니다.)
 
버넥트는 에이엘티보다 수요예측이 좋지 못하지만 유통금액이 500억 원대로 크지 않고 유사기업의 상장일 성과가 좋았던 점을 고려해 비례까지 해볼 생각입니다. 물론 청약일에 에이엘티와 버넥트 두기업의 청약경쟁률을 보면서 판단해야 합니다. 두 종목 상장일 수익률이 기대되므로 경쟁률이 낮은 종목에 비례청약 하는 게 수익 면에서 좋을 것 같습니다. 
 
파로스아이바이오는 투자기준(수요예측 1,000 이상, 유통금액 300억 이하)에 맞지는 않지만, 환매청구권 6개월이 있는 점과 기존 신약개발 공모주들의 성과를 봤을 때 그냥 넘어가기보다는 균등청약만 참여하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개별 공모주 내용 보기

 

에이엘티 공모주 수요예측(상장일, 유통금액, 사업내용)

에이엘티 공모주 청약내용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에이일티의 유통금액은 800억 원대로 21년~23.7월까지 비슷한 규모의 공모주의 상장일 평균수익률은 44%였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에서

white.rubisco83.com

 

버넥트 공모주 수요예측(상장일, 유통금액, 사업내용)

버넥트 공모주 청약내용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버넥트의 유통금액은 400억~500억 원대로 21년~23.7월까지 비슷한 규모의 공모주의 상장일 평균수익률은 56%였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에서

white.rubisco83.com

 

파로스아이바이오 공모주 수요예측(상장일, 유통금액, 사업내용)

파로스아이바이오 공모주 청약내용을 알려드리겠습니다. 파로스아이바이오의 유통금액은 약800억 원대로 21년~23.7월까지 비슷한 규모의 공모주의 상장일 평균수익률은 44%였습니다. (자세한 내

white.rubisco83.com

 
증권투자는 본인의 판단과 책임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본 내용은 투자 참고용으로 봐주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2023년 7월 공모주 청약일정과 주목해야 할 종목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일정이 겹치는 종목이 많아 아마도 변경될 확률이 높습니다. 일정이 변경된다면 변경되는 대로 바로 업데이트하도록 하겠습니다. 

 

7월 공모주 청약일정
7월 공모주 청약일정

7월 공모주 청약일정

3년 평균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을 플러스이며 유통가능물량이 20%대인 종목은 주목해야 할 종목으로 [★] 표시했으며 환매청구권이 있어 관심 가져야 할 종목은 [☆]로 표시했습니다. 에이엘티는 유통가능물량이  46%이지만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이 각각 18%, 25%로 높아 주목해야 할 종목으로 분류했습니다. 환매청구권은 주관 증권사가 해당 기업의 가격이 10% 이상 떨어지면 10% 하락한 가격으로 매수해 주는 조건이므로 그만큼 주관증권사에서 자신이 있다는 의미로 판단해 관심 가져할 종목으로  분류했습니다.

 

7월 공모주 청약일정 달력으로 보기!

 

종목명
(공모주)
청약일정
(23.7.)
공모가
(천원)
주관사
★필에너지 5~6일 26.3~30 미래에셋
삼성
☆와이랩 10~11일 7~8 한국투자
센서뷰 10~11일 2.9~3.6 삼성
★포커스미디어코리아 10~11일 11~12.4 미래에셋
신영
★뷰티스킨 13~14일 21~24 DB금융
큐리옥스바이오시스템 17~18일 13~16 키움
★에이엘티 17~18일 16.7~20.5 미래에셋
버넥트 17~18일 11.5~13.6 대신
☆파로스아이바이오 17~18일 14~18 한국투자
틸론 24~25일 16~25 키움
시지트로닉스 24~25일 18~20 유안타
★엠아이큐브솔루션 26~27일 8.5~10 한국투자
마트레이더시스템 26~27일 5.8~6.8 대신
파두 27~28일 26~31 NH,한국,한화,
현대차,유진투자,KB
시큐레터 28~29일 9.2~10.6 대신
종목명
(스팩주)
청약일정
(23.7.)
공모가
(천원)
주관사
디비금융스팩11호 3~4일 2 DB금융
유안타스팩14호 17~18일 2 유안타
KB스팩26호 31~8월1일 2 KB증권

상장당일 시초가가 궁금하다면 비슷한 수요예측 결과가 나온 공모주들의 시초가 수익률을 확인해 보세요 투자에 도움이 되실 겁니다. 

시초가 예측 바로가기!👉

 

청약종목 소개

★필에너지바로가기

필에너지

  • 사업내용 : 이차전지 조립 공정의 핵심 설비 제작
  • 공모규모 :  739억 원(공모가 26,300원 기준)
  • 자금사용 계획 : 시설자금(150억), 운영자금(184억), 채무상환(70억), 기타(85억)에 사용할 예정
  • 유통가능물량 : 28%
  • 부채비율(23년 1분기 기준) : 402%
  • 유동비율(23년 1분기 기준) : 146%
  • 3년(22년~20년) 평균 영업이익률 : 6%
  • 3년(22년~20년) 평균 순이익률 : 2%

 

☆와이랩  ☞바로가기

와이랩

  • 사업내용 : 웹툰 IP기반 켄텐츠 제작
  • 공모규모 : 210억 원(공모가 7,000원 기준)
  • 자금사용 계획 : 운영자금(205억)에 사용할 예정
  • 유통가능물량 : 38%
  • 부채비율(23년 1분기 기준) : 94%
  • 유동비율(23년 1분기 기준) : 182%
  • 3년(22년~20년) 평균 영업이익률 : -9%
  • 3년(22년~20년) 평균 순이익률 : -2%
  • 특징: 환매청구권 6개월

 

 

센서뷰 ☞바로가기

센서뷰

  • 사업내용 : 커넥터, 케이블 안테나 등과 같은 무선통신 장비와 부품을 개발 생산
  • 공모규모 : 113억 원(공모가 2,900원 기준)
  • 자금사용 계획 : 시설자금(80억), 운영자금(30억)에 사용할 예정
  • 유통가능물량 : 37%
  • 부채비율(23년 1분기 기준) : 122%
  • 유동비율(23년 1분기 기준) : 108%
  • 3년(22년~20년) 평균 영업이익률 : -239%
  • 3년(22년~20년) 평균 순이익률 : -275%

 

공모철회됨(6.30.)   ★포커스미디어코리아바로가기

포커스미디어코리아

  • 사업내용 : 엘리베이터 TV 설치 운영
  • 공모규모 : 279억 원(공모가 11,000원 기준)
  • 자금사용 계획 : 시설자금(57억), 운영자금(217억)에 사용할 예정
  • 유통가능물량 : 20%
  • 부채비율(23년 1분기 기준) : 62%
  • 유동비율(23년 1분기 기준) : 57%
  • 3년(22년~20년) 평균 영업이익률 : 19%
  • 3년(22년~20년) 평균 순이익률 : 14%

 

★뷰티스킨바로가기

  • 사업내용 : 제조, 유통, 브랜드를 모두 하는 화장품 회사
  • 공모규모 : 92억 원(공모가 21,000원 기준)
  • 자금사용 계획 : 시설자금(30억), 운영자금(11억), 기타(50억)에 사용할 예정
  • 유통가능물량 : 22%
  • 부채비율(23년 1분기 기준) : 90%
  • 유동비율(23년 1분기 기준) : 92%
  • 3년(22년~20년) 평균 영업이익률 : 9%
  • 3년(22년~20년) 평균 순이익률 : 7%

 

틸론 ☞바로가기

틸론

  • 사업내용 : 가상화 기술을 이용한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개발
  • 공모규모 : 96억 원(공모가 16,000원 기준)
  • 자금사용 계획 : 운영자금(91억), 채무상환(2억)에 사용할 예정
  • 유통가능물량 : 54%
  • 부채비율(23년 1분기 기준) : 2276%
  • 유동비율(23년 1분기 기준) : 13%
  • 3년(22년~20년) 평균 영업이익률 : -22%
  • 3년(22년~20년) 평균 순이익률 : -68%

 

큐리옥스바이오시스템즈 ☞바로가기

규리옥스바이오시스템즈

  • 사업내용 : 세포분석 공정의 자동화 장비와 소모품 판매
  • 공모규모 : 182억 원(공모가 13,000원 기준)
  • 자금사용 계획 : 시설자금(110억), 운영자금(68억)에 사용할 예정
  • 유통가능물량 : 37%
  • 부채비율(23년 1분기 기준) : 10%
  • 유동비율(23년 1분기 기준) : 429%
  • 3년(22년~20년) 평균 영업이익률 : -134%
  • 3년(22년~20년) 평균 순이익률 : -188%

 

★에이엘티바로가기

  • 사업내용 : 비메모리반도체 후공정 프로세스 중 테스트 공정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 공모규모 : 150억 원(공모가 16,700원 기준)
  • 자금사용 계획 : 시설자금(145억)에 사용할 예정
  • 유통가능물량 : 46%
  • 부채비율(23년 1분기 기준) : 157%
  • 유동비율(23년 1분기 기준) : 26%
  • 3년(22년~20년) 평균 영업이익률 : 18%
  • 3년(22년~20년) 평균 순이익률 : 25%

 

버넥트☞바로가기

버넥트

  • 사업내용 : 증강현실 기술을 기반으로 확장현실(XR) 설루션 개발
  • 공모규모 : 184억 원(공모가 11,500원 기준)
  • 자금사용 계획 : 시설자금(181억)에 사용할 예정
  • 유통가능물량 : 34%
  • 부채비율(23년 1분기 기준) : 58%
  • 유동비율(23년 1분기 기준) : 329%
  • 3년(22년~20년) 평균 영업이익률 : -187%
  • 3년(22년~20년) 평균 순이익률 : -176%

 

☆파로스아이바이오☞바로가기

파로스아이바이오

  • 사업내용 : AI기반으로 혁신신약개발 
  • 공모규모 : 196억 원(공모가 14,000원 기준)
  • 자금사용 계획 : 시설자금(3억), 운영자금(33억), 연구개발자금(154억)에 사용할 예정
  • 유통가능물량 : 34%
  • 부채비율(23년 1분기 기준) : 5%
  • 유동비율(23년 1분기 기준) : 2116%
  • 3년(22년~20년) 평균 영업이익률 : -4877%
  • 3년(22년~20년) 평균 순이익률 : -12048%
  • 특징: 환매청구권 6개월

 

★엠아이큐브솔루션바로가기

엠아이큐브솔루션

  • 사업내용 : 제조현장을 전산화 자동화를 통해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제공
  • 공모규모 : 102억 원(공모가 8,500원 기준)
  • 자금사용 계획 : 운영자금(12억), 채무상환(10억), 연구개발자금(79억)에 사용할 예정
  • 유통가능물량 : 23%
  • 부채비율(23년 1분기 기준) : 102%
  • 유동비율(23년 1분기 기준) : 2046%
  • 3년(22년~20년) 평균 영업이익률 : 3%
  • 3년(22년~20년) 평균 순이익률 : 4%

 

시지트로닉 ☞바로가기

  • 사업내용 : 비메모리 반도체중  광개별소자 개발 및 생산
  • 공모규모 : 162억 원(공모가 18,000원 기준)
  • 자금사용 계획 : 시설자금(120억), 운영자금(14억), 기타(26억)에 사용할 예정
  • 유통가능물량 : 57%
  • 부채비율(23년 1분기 기준) : 134%
  • 유동비율(23년 1분기 기준) : 119%
  • 3년(22년~20년) 평균 영업이익률 : -30%
  • 3년(22년~20년) 평균 순이익률 : -41%

 

스마트레이더시스템 ☞바로가기

  • 사업내용 : 이미지레이더 개발 제조 업체
  • 공모규모 : 128억 원(공모가 5,800원 기준)
  • 자금사용 계획 : 시설자금(16억), 운영자금(10억), 연구개발(98억)에 사용할 예정
  • 유통가능물량 : 27%
  • 부채비율(23년 1분기 기준) : 53%
  • 유동비율(23년 1분기 기준) : 267%
  • 3년(22년~20년) 평균 영업이익률 : -103%
  • 3년(22년~20년) 평균 순이익률 : -158%

 

파두 

  • 사업내용 : 데이터센터용 시스템 반도체(SSD 컨트롤러)생산 기업
  • 공모규모 : 1625억 원(공모가 26,000원 기준)
  • 자금사용 계획 : 시설자금(150억), 운영자금(74억), 연구개발(1360억)에 사용할 예정
  • 유통가능물량 : 39%
  • 부채비율(23년 1분기 기준) : 61%
  • 유동비율(23년 1분기 기준) : 254%
  • 3년(22년~20년) 평균 영업이익률 : -85%
  • 3년(22년~20년) 평균 순이익률 : -566%

 

 

시큐레터 ☞바로가기

  • 사업내용 : 보안소프트웨어 전문기
  • 공모규모 : 106억 원(공모가 9,200원 기준)
  • 자금사용 계획 : 시설자금(65억), 운영자금(28억), 연구개발(10억)에 사용할 예정
  • 유통가능물량 : 24%
  • 부채비율(23년 1분기 기준) : 47%
  • 유동비율(23년 1분기 기준) : 177%
  • 3년(22년~20년) 평균 영업이익률 : -179%
  • 3년(22년~20년) 평균 순이익률 : -278%

 

 

결론

3년 동안 평균적으로 적자를 내지 않았던 필에너지, 포커스미디어코리아, 뷰티스킨, 에이엘티, 엠아이큐브솔루션 5개 종목은 주목해야 할 종목입니다.

 

  • 필에너지는 성장산업인 2차 전지 분야에서 설비를 만드는 기업으로 3년 평균 수익률이 플러스이고 성장산업에 속한 점이 매력적입니다.
  • 포커스미디어코리아는 아파트에 사시는 분이라면 한 번은 봤을 기업입니다. 엘리베이터 안에 광고가 나오는 디스플레이를 설치 운영하는 회사입니다. 순이익률이 10% 중반대로 높은 편이며, 실생활에서 접할 수 있는 친숙한 기업입니다. (공모철회 6.30.)
  • 뷰티스킨은 제가 남자라 잘 알지 못하지만, 제조, 유통, 브랜딩을 모두 하는 기업이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OEM으로 중국에서 만들어 국내에 유통만 하는 기업들이 많은데 뷰티스킨은 제조부터 브랜딩까지 하는 화장품계에 다재다능한 기업인 것 같습니다. 3년 연속 수익을 내고 있으며 유통금액도 희망공모가 상단 24,000원 기준으로 180억 규모로 소규모에 해당합니다.
  • 에이엘티는 반도체 사업에서 테스트 공정에서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높은 순이익률을 보여 주고 있습니다. 단지 예상유통금액이 약 800억 원으로 부담이 되긴 하지만, 기관의 수요예측결과가 좋다면 청약을 고려해야 할 종목입니다.
  • 엠아이큐브솔루션은 우리나라 제조업을 업그레이드시킬 수 있는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입니다.  102%의 부채비율과 204%의 유통비율로 안정적인 재무상태를 가졌으며 매출과 순이익이 꾸준한 성장하고 있습니다. 유통금액 또한 100억대로 매우 낮습니다. 

 

6개월의 환매청구권이 있는 와이랩과 파로스아이바이오는 관심사 져야 할 종목입니다. 

 

  • 와이랩은 웹툰 IP Holder로 저작권 또는 사업권리를 보유한 기업이자 동시에 드라마 제작사입니다. 웹툰 콘텐츠 시장은 성장산업이며 제작업무가 체계화되고 분업화되면서 산업화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비록 와이랩이 이익을 내고 있지는 못하지만.  매출액이 꾸준히 상승하고 있으며 영업적자도 축소되고 있습니다.
  • 파로스아이바이오는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혁신신약개발을 전문적으로 하는 벤처기업입니다. 특히 암 치료를 위해 표적 단백질 분석과 약물 상호작용을 고려해 케미버스(chemiverse) 플랫폼을 개발했으며, 이를 통해 신약 개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고 높은 성공 가능성을 가진 신약후보물질을 발굴하여 혁신적인 신약 파이프라인을 구축했습니다. 두 기업의 6개월 환매청구권  주관사는 모두 한국투자증권입니다. 

 
※투자는 자기 자신의 판단과 책임하에 하여야 합니다. 제공해 드린 자료는 참고만 해주시기 바랍니다.

 

7월 공모주 일정
7월 공모주 청약일정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