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모주 투자 결과를 분석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2018년 10월부터 2022년 6월까지 투자성과를 분석해 봤습니다.(꾸준히 업데이트할 예정입니다) 수요예측값, 유통금액, 공모가 할인율 3가지 형태로 구분해 각각의 수익률이 어땠는지, 증거금대비 수익률이 어땠는지 분석해 보고 어떻게 투자하는 게 유리한지 살펴보겠습니다.  

 

(1) 수요예측 결과값이 1,000 이상인 경우 투자성과

기관의 수요예측 결과 1,000 이상인 종목은 전체 362 종목 중 173 종목으로 48%를 차지했습니다. 해당 종목의 종가를 평균해 수익률을 보면 공모가 대비 75% 수익률을 보여줬습니다. 배정만 받는다면 높은 수익을 거둘 수 있습니다.(평균배정 수량:23주)

증거금 5,000만 원으로 청약했을 때 종목당 평균 수익률을 구해보면 증거금 대비 종목당 수익률은 0.12%였습니다. 즉 5,000만 원을 투자해 평균 62,000원의 수익을 얻었습니다.  연평균 수익률(평균 4일 투자로 계산)로 환산해 보면 연 11.2% 수익률을 뜻합니다. 괜찮아 보입니다.  아래의 표는 2021년~2023년동안 수요예측 값이 1,000을 넘었던 종목의 종가수익률을 나타낸 표입니다. 

수요예측 1,000이상 종목 수익률
수요예측 1000이상 종목 수익률

공모주 수요예측 바로가기!👉

 

 

(2) 유통금액 300억 이하 종목에 투자 시 수익률

유통금액 300억 이하 종목은 362 종목 32 종목으로 약 9%가 해당되었습니다. 해당 종목들의 종가수익률은 45%로 수요예측 결괏값이 좋았던 종목보다 성과는 좋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평균 배정받는 수량이 707주로 수요예측 좋았던 종복보다 30배나 더 받을 수 있었습니다.

증거금 5,000만 원으로 청약했을 때 종목당 평균 수익률은 2.3%로 종목당 115만 원을 벌 수 있었습니다. 연평균 수익률로 따지면 209.5% 수익률입니다. 그러나 수요예측 결괏값이 평균 500대로 투자하기에는 불안해 보이는 값입니다.

유통금액 300억이하 투자시 수익률

유통금액 확인 바로가기!👉

 

 

(3) 예정공모가 하단가격의 70% 이하로 공모가가 결정된 경우

예정공모가가 10,000원~12,000원이던 주식이 7,000원으로 결정되었다면 이 경우에 (3)의 경우에 해당합니다. 보통 이런 경우는 수요예측 결괏값이 안 좋아 가격을 할인해 공모를 진행하는 경우입니다. 인기가 없이 청약 경쟁률이 낮아 많은 수량을 배정받을 수 있는 종목입니다. 

공모가 할인종목은 362 종목 중 12 중목이었으며 3.3%에 해당하는 종목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해당종목의 공모가 대비 평균 수익률은 18%이며, 증거금 5000만 원 투자 시 종목당 평균 2.8%로 140만 원의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연평균 수익률로는 255.6%입니다. 공모가가 할인된 종목의 수요예측 평균값은 34입니다. 수요예측만 보고 투자하시는 분이라면 절대 청약할 수 없는 종목입니다. 

공모가 할인 종목 투자결과
공모가 할인 종목 투자 결과

공모가 할인율 바로가기!👉

 

 

 

결론

수요예측 값이 좋은 종목은 사람들의 관심이 많아 배정받을 수 있는 수량이 적어 증거금 대비 수익률이 저조 했습니다. 반면 유통금액이 낮거나 공모가가 할인된 종목의 경우에는 사람들 관심 밖에 있어 청약을 한다면 많은 수량을 배정받을 수 있습니다. 그만큼 위험도 크지만 수익률도 좋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수요예측이 좋은 종목은 비례청약을 하더라도 받을 수 있는 수량이 적으므로 균등만 참여하고  유통금액이 적고 공모가가 할인된 종목은 비례청약을 신청해 많은 물량을 받아 수익률을 높이는 전략이 유용해 보입니다. 

 

자료를 다운로드하여 18년부터 23년까지 어떤 종목이 있는지 보시고 지금 청약하려는 종목과 수요예측, 유통금액, 공모가 할인율을 비교해 수익을 예상해 보세요.

(투자)공모주 투자 결과 분석.xlsx
0.22MB

 

 

반응형

공모주 청약방법 및 유의사항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청약방법은 5단계를 거쳐 이루어지며 청약 시 유의사항은 10개로 나열해 보았습니다. 청약방법을 잘 익히셔서 공모주로 수익 많이 나시길 바라겠습니다. 

공모주 청약방법
공모주 청약방법

공모주 청약방법

공모주 일정 확인 : 공모주 청약을 하기 전에 해당 기업의 공모주 일정을 확실하게 파악해야 합니다. 혹시 놓칠 수 있는 기업의 최근 소식이나 시장 정보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공모주 일정은 한국거래소(kind.krx.co.kr), 38커뮤니케이션(www.38.co.kr), 아이피오스탁(www.ipostock.co.kr) 등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공모주 일정확인 바로가기!👉

 

  • 증권사 선택 및 주식계좌 개설 : 공모주 청약 기업이 지정한 주관회사 또는 인수단의 증권사를 통해 주식 계좌를 개설하셔야 합니다. 원하시는 서비스와 수수료를 비교하여 증권사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주식 계좌는 공모일 전날까지 미리 만들어두는 것이 좋습니다.  규모가 큰 증권사는 청약기간에 계좌를 만들어도 청약할 수 있지만 중소형 증권사는 청약기간 전에 만들어야 합니다. 

증권사별 수수료 및 우대조건

한국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 NH투자증권
대신증권 삼성증권 KB증권
하나증권 키움증권 신한금융투자

 

 

  • 청약증거금 입금 : 공모주 청약을 위해 청약증거금을 입금해야 합니다. 청약증거금률은 일반적으로 50%이며, 입찰하고자 하는 주식 수량의 공모가격의 50%를 주식 계좌에 미리 입금하면 됩니다. 자금이 충분한지 입금량을 확인하고, 기한 내에 정산되도록 입금을 올바르게 해야 합니다. 
  • 청약 신청 : 준비가 완료되면 증권사 앱이나 홈페이지에서 청약 경쟁률을 확인하고 청약 신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청약 신청 시 입찰 수량을 정하고, 청약증거금을 사용항 청약을 진행하시면 됩니다. 2021년부터 개인 투자자를 대상으로 배정된 물량 가운데 절반은 균등 배분 방식이 적용되므로, 이 점도 고려하여 청약을 신청하세요.
  • 청약 결과 확인 및 환불금 정산 : 청약 마감 이후 공모주 배정률과 청약 경쟁률 등을 통해 주식이 배정됩니다.  청약이 되지 않은 경우 투자금은 최종적으로 "납입기일"까지 환급받게 됩니다. 

공모주 청약에 참여할 때는 전문가 의견, 기업의 사업 계획, 자금 사용 목적 등 다양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신청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이를 통해 자신의 투자 목표와 위험 수준에 맞는 공모주를 찾아 청약하시면 좀 더 이해가 깊고 만족스러운 투자를 하실 수 있습니다. 

 

 

공모주 청약 시 유의사항

  • 기업에 대한 충분한 이해 : 청약을 하기 전에 해당 기업의 사업 영역, 재무상태, 경영진, 기업의 발전 가능성 등을 면밀히 서서치 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기업의 가치를 파악해 공모주가 적절한 투자 대상인지 판단하실 수 있습니다.
  • 경쟁률 확인 : 공모주 청약도 아파트 청약처럼 경쟁률이 높을수록 배정받기 어렵습니다. 전략적으로 청약하고자 하는 주식 수량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청약 시작 전, 청약 시점, 청약 종료 전에 경쟁률을 확인해야 합니다.

 

공모주 청약방법공모주 투자방법공모주 청약방법
공모주 청약방법

  • 청약 자금 관리 : 청약증거금은 일반적으로 공모가격의 50%입니다. 청약에 참여하실 때는 자금관리에 신경 쓰셔야 합니다. 1개 종목의 청약이 끝나고 환불금이 들어오는 시점을 파악해 다음 청약 일정에 자금을 활용해야 합니다. 또 2~3개의 종목이 같은 날에 청약하는 경우 자금 배정을 어떻게 할 것인지도 고려해야 합니다. 
  • 청약 첫날 시초가 예측 : 공모주 상장 첫날 시초가는 공모가격과 다를 수 있으므로, 시초가 예측에 신경 쓰면서 투자에 대한 결정을 내리세요. 상장 이후 주가의 추이도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합니다. 

시초가 예측 바로가기!👉

 

  • 배분 방식 이해 : 공모주에는 균등 배분과 비례배분이라는 두 가지 배분 방식이 있습니다. 균등 배분은 모든 투자자에게 동일한 수량의 주식이 배분되는 방식이고, 비례배분은 투자자의 청약 주식 수량에 비례하여 주식을 배분하는 방식입니다. 
  • 시장 상황 및 정책 변동 : 금리, 정부 정책, 경제 상황 등 시장과 관련된 다양한 요소가 공모주의 가격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공모주 청약 시 이러한 요소들을 고려해야 합니다.

공모주 청약방법공모주 청약방법공모주 청약방법
공모주 청약방법

  • 기관 투자자의 참여 유무 : 공모주 청약 시 기관 투자자들의 참여 여부와 그들의 공모주에 대한 판단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 보통 기관 투자자들은 철저한 분석을 통해 투자 결정을 내린다고 믿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기관의 수요예측 결과와 기관 의무보유확약과 같은 내용이 투자에 유용한 지침이 됩니다. 
  • 공모주와 관련된 뉴스 및 이슈 : 공모주 청약에 앞서 최근 관련 뉴스와 이슈도 체크할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공모주 기업이 향후에 실적 향상이 기대되는지, 핵심 인력이나 기술력이 타 회사로 이동했는지는 반드시 점검해야 합니다. 
  • 시장 조건 및 개인 투자자 정서 : 공모주 청약 시점에는 전반적인 시장 조건과 개인 투자자들의 정서가 주가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시장 움직임과 투자자들의 의견을 살피며 상황을 파악하기 바랍니다. 

 

이러한 유의사항들을 고려하여 청약을 진행할 때 개인의 투자 처지와 자금 상황에 맞게 청약하기 바랍니다. 이를 통해 공모주 투자에서 좋은 결과를 얻을 확률이 높아집니다. 한편, 단기적인 수익을 위해서만 공모주 투자에 참여하는 것은 피해야 합니다. 기업의 포텐셜과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을 고려한 투자가 전략적인 투자로 판단됩니다. 

 

반응형

2022년 공모주 투자 결과 & 백테스트

2022년 공모주 투자를 시작해 균등배정만 받아 100여만원의 수익을 냈습니다. 와이프와 아이 2명까지 해서 총 400여 만원의 수익을 냈네요. 만약에 균등배정뿐만 아니라 비례배정도 받았다면 수익률은 어땠을까 하는 궁금증으로 백테스트를 해봤습니다.

<백테스트 조건>

☖투자기간 : 2018년 10월부터 2022년 11월까지 5년간의 수익률 분석이며,
☖투자금액: 100만원, 500백만원, 1000만원, 5000만원, 1억원으로 나눠서 실시
☖투자기준: 수요예측 880 이상 또는 수요예측 440이상 and 기관 의부 보유확약률 12%이상, 유통액 320억이하, PBR 1이하
☖시가수익률과 종가수익률을 각각 구함.

<백테스트 결과>

☖투자금액 100만원(단위:천원)

년도 시가수익 종가수익 제외종목 (시가)
수익률
(종가)
수익률
2018 167 179 -260 16.7% 17.9%
2019 75 28 -170 7.5% 2.8%
2020 -41 -32 28 -4.1% -3.2%
2021 1,305 1,486 -353 130.5% 148.6%
2022 1,612 1,065 -564 161.2% 106.5%
평균 620 542 -264 62.0% 54.2%


☖투자금액 500만원(단위:천원)

년도 시가수익 종가수익 제외종목 (시가)
수익률
(종가)
수익률
2018 895 943 -1,310 17.9% 18.9%
2019 497 264 -810 9.9% 5.3%
2020 -91 -25 179 -1.8% -0.5%
2021 1,453 1,675 -761 29.1% 33.5%
2022 3,363 2,108 -1,232 67.3% 42.2%
평균 1,174 944 -787 23.5% 18.9%


☖투자금액 1,000만원(단위:천원)

년도 시가수익 종가수익 제외종목 (시가)
수익률
(종가)
수익률
2018 1,834 1,911 -2,608 18.3% 19.1%
2019 1,075 616 -1,609 10.7% 6.2%
2020 -38 130 382 -0.4% 1.3%
2021 1,808 2,095 -1,244 18.1% 20.9%
2022 5,580 3,438 -2,074 55.8% 34.4%
평균 1,908 1,494 -1,431 19.1% 14.9%


☖투자금액 5,000만원(단위:천원)

년도 시가수익 종가수익 제외종목 (시가)
수익률
(종가)
수익률
2018 9,382 9,709 -12,994 18.8% 19.4%
2019 5,629 3,335 -7,951 11.3% 6.7%
2020 921 1,739 2,014 1.8% 3.5%
2021 5,498 6,452 -5,100 11.0% 12.9%
2022 24,057 14,639 -8,776 48.1% 29.3%
평균 7,930 6,007 -6,561 15.9% 12.0%


☖투자금액 1억원(단위:천원)

년도 시가수익 종가수익 제외종목 (시가)
수익률
(종가)
수익률
2018 18,821 19,462 -25,991 18.8% 19.5%
2019 11,310 6,700 -15,874 11.3% 6.7%
2020 2,033 3,667 4,051 2.0% 3.7%
2021 10,287 12,019 -9,968 10.3% 12.0%
2022 47,111 28,647 -17,160 47.1% 28.6%
평균 15,469 11,655 -12,988 15.5% 11.7%

 

백테스트 결과 분석

첫째, 18년~20년 까지는 투자금액이 증가할수록 수익률이 미세하게 올라가지만, 21년~22년은 투자금액이 증가할수록 수익률이 떨어졌습니다. 21년 전에는 비례배정만 시행했고, 21년이후에는 균등배정과 비례배정을 동시에 하면서 이런 결과가 나온 것 같습니다. 균등배정은 최소금액만 넣더라도 1~2주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작은 금액을 투자하는 개미 투자자에게 이득이 되는 제도입니다. 둘째, 종가수익률보다 시가수익률이 평균 4%이상 좋았습니다. 공모주는 시가에 매도하는게 이득이네요 셋째, 투자기준에 맞지 않는 제외 종목에 투자했다면 폭망 했을 것입니다. 투자기준을 정했고 만족스러운 백테스트 결과가 나왔다면 감정은 배제하고 원칙대로 매매해야 합니다.

 

공모주 투자의 장단점

☖공모주 투자의 장점 : 공모주를 통해서 얻을 수 있는 기대 수익률은 연10%~20% 사이이고 수익이 마이너스인 해도 있었지만 5년을 투자한다고 생각한다면 평균 15% 이상의 수익률이 기대됨. 주식처럼 매수 후 보유하지 않고 배정받은 주식을 상장일에 바로 매도 하기때문에 –20%~-30% 되는 구간이 없어 심리적으로 부담이 없다는 점이 장점이다.
☖공모주 투자의 단점 : 매달 일정한 금액을 버는 것이 아니며, 특정 월에 그해 수익을 절반 이상을 버는 경우가 있어 한 번이라도 수익을 내는 종목을 놓치게 되면 그해 공모주 농사는 망치게 됨. 수익을 많이 주는 공모주는 시장에 관심을 받지 못해 많은 수량을 배정 받는 게 부담이 될 때가 있음. 공모주가 있을 때마다 기업에 대한 분석표를 만들어야 하며 시간이 많이 들지 않지만 잦은 자금 이체와 청약을 해야 하는 점은 귀찮음.

 

공모주 투자 계획

1억의 투자금으로 연15% 수익을 기대하면 근로소득 이외의 1,500만원의 추가 소득을 올린다. 아내와 아이들 계좌를 동원해 균등청약까지 한다면 몇백만은 더 벌수 있을 것이다.  

반응형

+ Recent posts